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골프칼럼] <2353> 짧은 그립으로 ‘뒤땅’ 예방을

골프클럽만 손에 쥐면 코스의 상황과는 관계없이 젖 먹던 힘까지 동원해 볼을 멀리 치려는 욕심이 샷을 망친다.   아이언샷이란 볼이 있는 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 거리를 산출하여 여기에 맞는 클럽을 선택, 샷을 해야 함에도 클럽 길이에 상관없이 무작정 멀리 치려는 악습이 몸에 젖어 드라이버를 치듯 거리 욕심에 스윙을 망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골프에서 발생하는 실수는 장소와 때를 가리지 않으며 주변 상황에 상관없이 골퍼를 괴롭히고 불안하게 만든다. 특히 파(par)5, 무려 홀의 길이가 450야드 이상을 상회하는 경우 두 번째 샷을 실수한다면 홀을 공략하는데 막대한 지장을 준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리커버리(recovery)샷, 즉 이전의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비 거리는 물론 정확도에까지 치중하며 샷을 해야 한다.   우드와 아이언클럽 중 실수의 빈도가 가장 적은 클럽은 페어웨이 우드(fairway wood)임에도 불구, 이 클럽으로 샷을 하는데 대한 부담을 갖는 골퍼가 이외로 많다. 페어웨이우드로 볼을 정확하고 멀리 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올바른 자세(set up)와 그립을 잡는 방법, 그리고 스윙 패스(swing path)에 달려 있다.   스윙패스란 클럽 헤드가 볼을 치기 직전과 친 후, 통과하는 길을 의미하는 것으로 클럽 헤드가 진입하는 통로에 따라 구질이 바뀐다. 다시 말해 드라이버는 어퍼 블로우(upper blow)인 반면 페어웨이 우드는 약간 쓸어 친다는 개념의 사이드 블로우(side blow)가 적합하다.   페어웨이우드는 대개 3, 4, 5번이 주로 사용되지만 힘이 부족한 장년층이나 여성들 사이엔 7번이나 9번우드, 혹은 하이브리드 역시 추천할만한 클럽이다. 볼이 정상적인 탄도를 유지하는 것은 클럽타면(loft angle) 각도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와 함께 비거리까지 생겨나 볼은 목표지점을 향하게 된다.   페어웨이우드 실수의 대부분은 볼도 치기 전 클럽바닥면(sole plate)이 지면을 쳐, 이때 생겨난 바닥 면의 ‘튕김’ 현상으로 탑핑(topping)이 발생한다.     따라서 클럽바닥면의 최전방의 리딩에지, 즉 튀어나온 최 하단 부분이 볼 하단 1/3지점을 친 후 바닥이 지면을 스치며 빠져나가야 한다. 페어웨이우드가 볼도 치기 전 지면을 먼저 치는 이유 중 첫 번째는 탑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 이어지는 순간 양 손목이 일찍 풀리거나, 또는 양손은 볼을 향하고 있는데 왼쪽허리가 목표방향으로 먼저 빠지는 이른바 스웨이(sway)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다. 이런 상황이 되면 여지 없이 클럽헤드의 바닥 면이 뒤땅을 먼저 친다.   따라서 이 같은 현상을 방지하려면 평소보다 그립을 0.5~1인치를 짧게 내려 잡으면, 뒤땅을 먼저 치면서 발생하는 탑핑 등의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그립 예방 페어웨이우드 실수 클럽 헤드 클럽 길이

2024-12-26

[골프칼럼] <2178> 클럽 길이에 따라 아크 변형

골프에서의 실패는 어떤 의미에서 성공으로 향하는 지름길이기도 하지만 실수를 발견할 때 정확함이 무엇인가를 추구한다.     믿음이 없으면 의심이 따르기 마련이고 그 의문은 실수로 이어지는 것이 스윙, 개인의 성격이나 주위 환경에 따라 상황이 반전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실수로 끝나고 만다.     확고한 믿음이 생겨날 때 정확한 샷이 나오고 정신과 육체가 함께해야 몸에 경직은 물론 강한 승부욕까지 생겨난다.     스윙 중 골퍼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순간은 임팩트(impact), 이 임팩트 순간은 초고속으로 촬영해야만 그 분석이 가능하고 유관상으로는 이를 확인조차 할 수 없다.     그러나 스윙을 시작할 때 그 궤도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 다음 동작을 알 수 있고 피니시를 보면 중간 과정의 오류는 확인이 가능하다. 이 같은 맥락은 기초 스윙의 중요함을 증명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기본 자세가 스윙을 가늠한다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     임팩트는 어드레스(set-up)의 ‘재현’이라는 말로 통용되기도 하지만 알 것 같으면서도 애매모호한 대목이다.  볼을 치는 순간 어드레스와 같은 자세를 재현할 수 있다면 볼은 틀림없이 의도하는 목표를 향해 똑바로 날아간다는 이론이 성립된다.     그러나 이론과 실제가 일치되지 않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스윙이란 축을 중심으로 몸이 꼬이고, 꼬였던 몸이 풀리며 절정에 이르러 풀릴 때 스윙의 힘이 발산한다. 그리고 연속되는 다운 스윙(downswing)과 함께 탄력이 붙어 헤드 스피드(내려지는 속도)가 생성되며 눈 깜짝할 사이에 순간 동작으로 끝난다.     따라서 본인 의도와는 상관없이 스윙이 허무하게 끝나는 경우도 있고, 어드레스에서 톱 스윙(top swing)까지는 의지대로 행동을 연계시킬 수 있지만 이 후의 동작은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스윙의 표현 가운데 ‘죽음의 스윙’이 있다. 이것은 곧 스윙 궤도(swing arc)를 의미하는 것으로 궤도가 틀려지는 사선, 즉 죽은 선을 뜻한다. 여기서 말하는 사선이란 궤도를 의미하며 이 궤도는 아이언과 우드(wood)의 차이, 즉 기본자세나 그립 등이 같지만 클럽 길이가 틀려지면 궤도의 변화는 자연히 달라진다.     우드는 몸과 볼의 간격이 넓어 일정 구간을 통과하면 평면 궤도를 따라 스윙이 만들어지며 이 궤도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어야 체중 이동과 함께 완벽한 샷을 구사할 수 있다.     반대로 아이언의 경우 우드와 같은 맥락이지만 볼이 몸과 가까이 있어 수직에 가까운 평면의 형태로 바뀐다는 것으로 이를 다른 각도로 생각하면 완전히 다른 양상의 스윙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많은 골퍼가 혼동을 부르고 심지어 스윙이 다르다고 강조하는 이도 적지 않지만 분명한 것은 의도적으로 궤도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클럽 길이에 따라 궤도(arc)가 변한다는 것을 숙지해야 심리적 갈등이 없어진다.     따라서 아이언과 우드는 그 스윙 포맷(swing format)이 같고 틀린 것은 클럽 길이에 따른 평면각의 변화만 있을 뿐 스윙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명심하고 실전에 임하면 혼동이 따르질 않을 것이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등 박윤숙골프에 관한 모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클럽 길이 스윙 궤도 클럽 길이 평면 궤도

2021-12-2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